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보기

(17)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제대로 알고 있니? 너는 가장 포스트모던한 방식으로 네 고통을 감추려고 해. 제가 좋아하는 노래 가사 중에 이런 게 있습니다. And irony's okay, I suppose Culture is to blame You try and mask your pain in the most postmodern way - the 1975, 모순적인 건 괜찮아, 아마도 우리 문화의 탓이지 뭐 너는 가장 포스트모던한 방식으로 네 고통을 감추려고해. 여기서 나오는 포스트모더니즘, 무슨 뜻인지 궁금하시죠? 노래 가사에서 처음 들은 단어가 특정 문화, 사상의 종류 (예를 들면 페미니즘 처럼)란 건 찾아보고 난 뒤에야 알았는데요. 미국 젊은 층 사이에서 매우 빈번하게 보였던 단어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사상, 정확히 무슨 뜻인..
인지 편향의 종류와 개선 방법들: 3가지 살다보면 수많은 종류의 편향을 경험한다. 편향이란 '편견'과는 다른데, 인지 편향은 우리 뇌의 한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일어나는 오류이고, 편견은 해당 편향이 오랜 기간 굳어지거나, 특정 상황에서 발동하여 치우친 생각을 하게끔 만든 '결과'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편향이 편견(고정관념)의 원인인 것은 맞다. 하지만 인지 편향이 늘 편견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편협한 사고와 불합리한 의사결정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인지 편향의 종류를 제대로 알고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인지 편향의 종류와 개선법 3가지를 알아보자. 인지 편향의 정의: 뜻과 개념 인지 편향이란? 경험에 의한 비논리적 추론으로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 인지편향 자체는 불가피하며, 좋은 것도 나쁜 것도..
내가 복습하려고 쓰는 심리학 용어 모음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심리학 용어, 그리고 조금 생소하지만 우리가 흔히 겪는 증상까지 전부 '심리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떨까? 나도 자주 까먹어서, 다시 보려고 쓰는 심리학 용어 모음 오늘 나오는 용어 10개만 숙지해도 심리학 주제에서 전문가로 보일 수 있다. 1. 게슈탈트 붕괴 현상 특정 단어를 반복해서 말했을 때 단어의 의미가 희미해지고 단어 형태의 확신이 사라지는 현상. 예를 들어 게슈탈트, 게슈탈트, 게슈탈트... 반복하다 보면 ㄱㅔㅅㅠㅌㅏㄹㅌㅡ와 같이 이게 맞나...? 게쉬..탈트인가? 하는 혼란이 올 수 있음.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부분과 전체의 조합이 우리 인식을 창조한다고 하여 해당 개념으로부터 파생된 개념으로 보임. 2. 초두 효과 초반 할때 초, 한자 머리 두를 사용해 '처음..
메타인지 뜻 ‘제대로’ 알기 메타인지, 요새 자주 쓰이는 용어다. 심리학, 뇌과학, 교육, 마케팅, 자기계발 분야를 막론하고 심심치 않게 보이며 꽤 그럴듯한 ‘설득 효과’가 있는 듯하다. (메타인지 라는 말을 포함시키는 것만으로도 주장의 신뢰성이 높아보임) 그런데 이 용어, 뜻은 제대로 알고 있는가? 메타인지가 정확히 무슨 뜻이고 어떤 개념으로 쓰이는지 1분 안에 설명할 수 없다면, 오늘 글이 도움이 될 것이다. 메타인지 뜻, 개념은 뭘까? 네이버 출처 국어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된다. 자신의 인지 과정에 대하여 한 차원 높은 시각에서 관찰, 발견, 통제하는 정신 작용 이렇게 보니 무언가 심오하고 대단한 뇌 작용 같지만, 실는 메타인지란 그저 나를 잘 아는가와 다름 없다고 생각한다. 다른 말로, 자기객관화 내지는 자아성찰 및 의식..
세계 최초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누구인가, 주요 이론 정리 세계 최초의 심리학자, 또는 철학자로 불리는 윌리엄 제임스는 아래 사진 속 인물이다. 고대 철학자 같이 생겼다 누가봐도(?) 미국 유명 심리학자, 또는 전세계에서 가장 먼저 심리학, 철학 분야를 연구한 사람이 누굴까? 궁금해서 이 글을 보고 있을텐데, 그렇다면 잘 왔다. 모든 키워드에 해당되는 윌리엄 제임스를 낱낱이 파헤쳐보자. 윌리엄 제임스, 정서 이론 원래 통상적인 글 구성대로 그의 출생부터 일대기를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려 했으나, 재미없을 것 같아 대표적인 심리 이론을 알려주려고 한다. 제임스의 정서 이론은 그의 심리학 연구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대표적인 심리 이론이다. 덴마크의 '랑게'라는 연구자와 거의 동시에 내용을 발표해서 사이좋게 제임스-랑게 정서 이론 이라고 불린다. 그렇다면 정서 이론은 ..
착한 아이 증후군, 고칠 수 있을까? "엄마 말을 잘 들어야지" 어렸을 적, 무조건 '네'라고 대답하는 게 다 옳은 줄 알았던 것처럼 청소년기도, 심지어는 성인이 되어서도 착한 아이 콤플렉스를 겪는 사람이 많다. 인정받고 싶어서, 또는 착한 사람이 좋은 거니까, 뭘 잘 몰라서 등 여러 이유로 우리는 '착한 사람'이 되려 한다. 하지만 마음 속엔 답답함과 결국 뭐가 맞는 거지? 하는 생각이 스멀스멀 피어났을 것이다. 착한 아이 증후군, 정확히 뭘까? 또 극복이 가능한 걸까? 착한아이 증후군, 또는 신드롬 뜻 착한아이 콤플렉스 / 증후군 / 신드롬 등 해당 증상에는 여러 명칭이 있다. 본문에서는 이 이름들을 섞어 사용할테니, 참고해주길 바란다. 착한아이 신드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남의 말을 잘 들으면 착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강박관념이 되어버..
신경가소성 뜻과 개념, 끊임없는 뇌 변화 우리 뇌는 쉴새없이 변화하며 발달한다. 특히, 갓 태어난 때부터 3살, 이후 유아기부터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뇌 발달 속도는 놀라우리만큼 빠르다. 옹알이도 못 하던 아이가 '맘마'를 말하고, 2x3=6과 같은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기까지 '단백질 덩어리'인 뇌는 엄청난 수준의 변화를 겪는다. 그렇다면 성인은 경우는 어떨까? 20살 이후로 신체뿐 아나리 뇌 발달 속도 역시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뇌는 끊임없이 발달한다. 당신이 죽을 때까지 말이다. 이런 뇌의 특성을 신경가소성 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이것을 최대로 활용하고, 뇌를 발달시킬 수 있을지 알아보자. 뇌가소성, 뉴로플라스티시티(neuroplasticity) 신경가소성은 다른 말로 뇌가소성 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뉴로플라..
뉴런 뜻, 구조 및 기능 총정리 뇌세포를 뜻하는 뉴런(neuron)은 여러 부위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부위별로 기능 및 명칭이 다른데, 오늘 포스팅 하나로 뉴런 총정리를 해보자. 뉴런 구조, 그림으로 보기 여기서부터는 친절하게 존댓말로 하겠습니다 (갑자기?) 'neuron diagram(뉴런 도식)'을 치면 나오는 이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키피디아 출처의 뉴런 부위별 명칭과 세부 도식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축삭은, 꼬리처럼 쭉 이어진 나머지 부분들을 전부 포함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뉴런 구조 3부분: 신경세포체, 가지돌기, 축삭 곤충을 머리 / 가슴 / 배로 나누는 것처럼, 뉴런도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신경세포체 / 가지돌기 / 축삭 입니다. 신경세포체는 핵을 포함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고, 가..

728x90